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설빙 배달매장 – 디저트 브랜드의 유통 한계 ‘설빙’은 2010년대 중반 국내 디저트 시장에 코리안 디저트라는 새 바람을 불러온 대표 브랜드로, 단순한 빙수 이상의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며 빠르게 전국에 가맹점을 확산시켰다. 단호박설빙, 인절미설빙, 망고치즈설빙 등 비주얼과 맛 모두를 만족시키는 제품을 통해 MZ세대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했고, SNS를 통한 자발적 홍보 효과까지 누리며 브랜드는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오프라인 중심의 구조가 위기를 맞으면서, 설빙은 ‘배달매장 전환’이라는 전략적 선택을 시도하게 된다.배달 플랫폼과 연계해 다양한 메뉴를 택배 또는 배달로 제공하며 매출 회복을 노렸지만, 결과적으로 이 시도는 설빙의 브랜드 이미지 훼손과 소비자 만족도 저하로 이어졌고, 디저트 프랜차이즈의 유통 구조적 한계를 드러낸 대.. 더보기
본죽&비빔밥 배달전문 – 분산된 정체성이 초래한 문제 ‘본죽’은 국내 프랜차이즈 시장에서 죽이라는 카테고리를 상업적으로 성공시킨 첫 번째 브랜드로, ‘건강한 한 끼’라는 이미지를 통해 소비자의 신뢰를 얻었다. 오랜 시간 동안 본죽은 아플 때, 부담 없는 식사가 필요할 때 떠오르는 브랜드로 자리 잡았고, ‘간편하지만 정성 있는 음식’이라는 정체성을 구축해왔다. 하지만 본사는 확장 전략의 일환으로 ‘본죽&비빔밥’이라는 복합 브랜드를 출범시키고, 배달 전문 매장까지 확대하며 다품목 중심의 운영 방식을 시도했다.이 과정에서 브랜드는 ‘죽 전문점’이라는 명확한 정체성을 잃고, 혼란스러운 브랜드 이미지로 전락하게 된다. 결국 소비자는 브랜드에 대한 신뢰를 잃고, 점주는 복잡한 운영 구조에 피로를 느끼며, 수익성까지 무너지는 구조적 문제로 이어졌다. 이 사례는 외식 브.. 더보기
홍콩반점 배달매장 – 본질을 잃은 브랜드 확장 ‘홍콩반점0410’은 백종원 브랜드 중에서도 가장 대중적으로 성공한 중식 프랜차이즈다. 짬뽕, 짜장면, 탕수육 등 한국인이 선호하는 대표 중식 메뉴를 대중적인 가격과 빠른 회전으로 제공하며 오프라인 외식 시장에서 탄탄한 입지를 구축해 왔다. 깔끔한 매장, 정형화된 메뉴 구성, 점포 운영의 효율성까지 모두 갖춘 브랜드로 평가받았으며, 쇼핑몰, 대학가, 역세권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갔다. 그러나 2020년 이후 코로나19 확산과 함께 배달 전환이 외식 업계 전반의 과제로 떠오르면서, 홍콩반점도 ‘배달 특화 매장’ 확장 전략을 본격화했다. 그러나 결과는 기대와 달랐다.기존 오프라인의 강점을 살리지 못한 채, 브랜드 정체성을 스스로 흔드는 구조적 한계에 직면했고, 소비자와 가맹점 모두에게 혼란을 남기.. 더보기
자연별곡 배달 – 한식 뷔페 브랜드의 채널 실패 사례 ‘자연별곡’은 이랜드 외식사업부에서 론칭한 한식 뷔페 브랜드로, 2010년대 중반 이후 가족 단위 외식 수요를 흡수하며 빠르게 성장한 대표적 브랜드다. 제철 식재료를 활용한 한식 반찬과 즉석 요리, 건강한 이미지를 결합해 중장년층과 어린이를 모두 아우를 수 있는 브랜드로 자리 잡았고, 대형 쇼핑몰이나 복합상권에 대규모 매장으로 입점해 브랜드 파워를 키워왔다. 하지만 코로나19 이후 오프라인 회식 및 가족 외식 수요가 급감하면서, 자연별곡은 ‘배달 전환’이라는 새로운 생존 전략을 꺼내 들었다.한식 도시락, 1인 반찬 세트, 구이류 중심의 포장 제품 등을 선보였지만, 이 시도는 오히려 소비자의 혼란을 낳았고, 브랜드 정체성 훼손과 수익성 악화라는 이중의 위기를 초래했다. 이 사례는 뷔페 브랜드의 본질이 공간.. 더보기
BHC 치킨버거 – 브랜드 혼란이 초래한 실패 ‘비에이치씨(BHC)’는 한국 치킨 시장의 대표 브랜드 중 하나로, 뿌링클, 맛초킹 등 히트메뉴를 통해 강력한 브랜드 파워를 쌓아왔다. 본사는 이 성공을 바탕으로 ‘BHC 치킨버거’라는 신규 브랜드를 통해 버거 시장에 진출했으며, 치킨 전문 브랜드의 노하우를 활용해 경쟁이 치열한 패스트푸드 시장에서 존재감을 확보하고자 했다.그러나 해당 시도는 기대만큼의 성과를 내지 못한 채 빠르게 주목도에서 멀어졌고, 일부 매장은 구조 조정 및 폐점 수순을 밟으며 브랜드 확장 전략에 실패한 대표 사례로 남았다. 이 사례는 기존 브랜드의 강점을 잘못 확장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브랜드 포지셔닝 붕괴’와 소비자 혼란이 어떤 결과를 낳는지를 잘 보여준다. 치킨 강자의 버거 진출 – 전략은 나쁘지 않았다BHC가 치킨버거 브랜.. 더보기
철판목장 – 콘셉트는 좋았지만 구조화 되지 못한 고깃집 브랜드 ‘철판목장’은 패밀리레스토랑의 캐주얼함과 고깃집의 대중성을 결합한 신개념 철판 고기 브랜드로, 비주얼 중심의 철판 셋팅과 유니크한 메뉴 구성이 돋보였던 외식 프랜차이즈다. 일반적인 고깃집과 달리 ‘정해진 세트 메뉴’, ‘감성적인 플레이팅’, ‘철판 위 한상차림’이라는 콘셉트를 내세워 젊은 층의 관심을 끌었고, SNS를 통해 빠르게 입소문을 타며 단기간에 브랜드 인지도를 확보했다.하지만 콘셉트의 신선함과 소비자 반응에도 불구하고, 철판목장은 체계적인 운영 시스템 부족, 콘셉트 일관성 미흡, 수익성 문제로 빠르게 위기를 맞았고, 대부분의 매장이 3년 이내 폐점하거나 다른 브랜드로 리뉴얼되었다. 이 사례는 외식 프랜차이즈가 ‘감각’만으로 성공할 수 없으며, 성공적인 콘셉트를 ‘운영 구조’로 전환하지 못하면 브.. 더보기
만석닭강정 – 온라인 확장의 실수 ‘만석닭강정’은 강원도 속초의 대표 먹거리이자, 전국적인 명성을 가진 지역 맛집 브랜드였다. 수요가 폭발하면서 현장에서는 대기 줄이 길게 늘어섰고, “속초에 가면 꼭 사야 할 음식”으로 자리잡으며 지역 기반 외식 브랜드의 성공 모델로 평가받았다. 이에 만석닭강정은 전국 소비자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온라인 직영몰을 론칭하고 배송 판매를 확대했지만, 이 시도는 오히려 브랜드 가치 하락과 고객 불만 증가로 이어졌다.그 결과, 온라인에서의 평판은 악화되었고, 오프라인 명성까지 영향을 받는 부작용이 발생했다. 이 사례는 ‘현장 경험 기반 지역 맛집’이 단순히 온라인 판매만으로는 확장을 이어가기 어렵다는 점을 보여준다. 브랜드 경험과 제품 품질, 운영 구조가 함께 따라오지 않으면, 오히려 소비자 신뢰를 잃게 된다는.. 더보기
디초콜릿커피 – 명확한 차별화 없이 사라진 디저트 카페 ‘디초콜릿커피(De Chocolate Coffee)’는 이름 그대로 초콜릿을 중심에 둔 프리미엄 디저트 카페로 출발했다. 초콜릿 음료, 케이크, 브라우니, 그리고 커피를 함께 즐길 수 있는 구성은 당시에 흔치 않았던 ‘디저트 중심형 카페’라는 점에서 젊은 여성층을 중심으로 이목을 끌었다. 특히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유럽풍 분위기, 쇼콜라에 집중된 메뉴 구성 등은 카페 시장의 다양화를 시도하던 트렌드와 잘 맞아떨어지며 수도권을 중심으로 빠르게 매장이 확장되었다.하지만 디초콜릿커피는 브랜드 콘셉트의 불명확함과 상품력 부족, 운영 전략의 미흡함으로 인해 단기간 내 성장에 제동이 걸렸고, 결국 시장에서 서서히 사라지게 되었다. 이 사례는 카페 프랜차이즈 시장에서 ‘차별화’가 단순한 아이디어가 아닌 구조적 설계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