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홍콩반점 배달매장 – 본질을 잃은 브랜드 확장 ‘홍콩반점0410’은 백종원 브랜드 중에서도 가장 대중적으로 성공한 중식 프랜차이즈다. 짬뽕, 짜장면, 탕수육 등 한국인이 선호하는 대표 중식 메뉴를 대중적인 가격과 빠른 회전으로 제공하며 오프라인 외식 시장에서 탄탄한 입지를 구축해 왔다. 깔끔한 매장, 정형화된 메뉴 구성, 점포 운영의 효율성까지 모두 갖춘 브랜드로 평가받았으며, 쇼핑몰, 대학가, 역세권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갔다. 그러나 2020년 이후 코로나19 확산과 함께 배달 전환이 외식 업계 전반의 과제로 떠오르면서, 홍콩반점도 ‘배달 특화 매장’ 확장 전략을 본격화했다. 그러나 결과는 기대와 달랐다.기존 오프라인의 강점을 살리지 못한 채, 브랜드 정체성을 스스로 흔드는 구조적 한계에 직면했고, 소비자와 가맹점 모두에게 혼란을 남기.. 더보기
자연별곡 배달 – 한식 뷔페 브랜드의 채널 실패 사례 ‘자연별곡’은 이랜드 외식사업부에서 론칭한 한식 뷔페 브랜드로, 2010년대 중반 이후 가족 단위 외식 수요를 흡수하며 빠르게 성장한 대표적 브랜드다. 제철 식재료를 활용한 한식 반찬과 즉석 요리, 건강한 이미지를 결합해 중장년층과 어린이를 모두 아우를 수 있는 브랜드로 자리 잡았고, 대형 쇼핑몰이나 복합상권에 대규모 매장으로 입점해 브랜드 파워를 키워왔다. 하지만 코로나19 이후 오프라인 회식 및 가족 외식 수요가 급감하면서, 자연별곡은 ‘배달 전환’이라는 새로운 생존 전략을 꺼내 들었다.한식 도시락, 1인 반찬 세트, 구이류 중심의 포장 제품 등을 선보였지만, 이 시도는 오히려 소비자의 혼란을 낳았고, 브랜드 정체성 훼손과 수익성 악화라는 이중의 위기를 초래했다. 이 사례는 뷔페 브랜드의 본질이 공간.. 더보기
BHC 치킨버거 – 브랜드 혼란이 초래한 실패 ‘비에이치씨(BHC)’는 한국 치킨 시장의 대표 브랜드 중 하나로, 뿌링클, 맛초킹 등 히트메뉴를 통해 강력한 브랜드 파워를 쌓아왔다. 본사는 이 성공을 바탕으로 ‘BHC 치킨버거’라는 신규 브랜드를 통해 버거 시장에 진출했으며, 치킨 전문 브랜드의 노하우를 활용해 경쟁이 치열한 패스트푸드 시장에서 존재감을 확보하고자 했다.그러나 해당 시도는 기대만큼의 성과를 내지 못한 채 빠르게 주목도에서 멀어졌고, 일부 매장은 구조 조정 및 폐점 수순을 밟으며 브랜드 확장 전략에 실패한 대표 사례로 남았다. 이 사례는 기존 브랜드의 강점을 잘못 확장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브랜드 포지셔닝 붕괴’와 소비자 혼란이 어떤 결과를 낳는지를 잘 보여준다. 치킨 강자의 버거 진출 – 전략은 나쁘지 않았다BHC가 치킨버거 브랜.. 더보기
철판목장 – 콘셉트는 좋았지만 구조화 되지 못한 고깃집 브랜드 ‘철판목장’은 패밀리레스토랑의 캐주얼함과 고깃집의 대중성을 결합한 신개념 철판 고기 브랜드로, 비주얼 중심의 철판 셋팅과 유니크한 메뉴 구성이 돋보였던 외식 프랜차이즈다. 일반적인 고깃집과 달리 ‘정해진 세트 메뉴’, ‘감성적인 플레이팅’, ‘철판 위 한상차림’이라는 콘셉트를 내세워 젊은 층의 관심을 끌었고, SNS를 통해 빠르게 입소문을 타며 단기간에 브랜드 인지도를 확보했다.하지만 콘셉트의 신선함과 소비자 반응에도 불구하고, 철판목장은 체계적인 운영 시스템 부족, 콘셉트 일관성 미흡, 수익성 문제로 빠르게 위기를 맞았고, 대부분의 매장이 3년 이내 폐점하거나 다른 브랜드로 리뉴얼되었다. 이 사례는 외식 프랜차이즈가 ‘감각’만으로 성공할 수 없으며, 성공적인 콘셉트를 ‘운영 구조’로 전환하지 못하면 브.. 더보기
만석닭강정 – 온라인 확장의 실수 ‘만석닭강정’은 강원도 속초의 대표 먹거리이자, 전국적인 명성을 가진 지역 맛집 브랜드였다. 수요가 폭발하면서 현장에서는 대기 줄이 길게 늘어섰고, “속초에 가면 꼭 사야 할 음식”으로 자리잡으며 지역 기반 외식 브랜드의 성공 모델로 평가받았다. 이에 만석닭강정은 전국 소비자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온라인 직영몰을 론칭하고 배송 판매를 확대했지만, 이 시도는 오히려 브랜드 가치 하락과 고객 불만 증가로 이어졌다.그 결과, 온라인에서의 평판은 악화되었고, 오프라인 명성까지 영향을 받는 부작용이 발생했다. 이 사례는 ‘현장 경험 기반 지역 맛집’이 단순히 온라인 판매만으로는 확장을 이어가기 어렵다는 점을 보여준다. 브랜드 경험과 제품 품질, 운영 구조가 함께 따라오지 않으면, 오히려 소비자 신뢰를 잃게 된다는.. 더보기
디초콜릿커피 – 명확한 차별화 없이 사라진 디저트 카페 ‘디초콜릿커피(De Chocolate Coffee)’는 이름 그대로 초콜릿을 중심에 둔 프리미엄 디저트 카페로 출발했다. 초콜릿 음료, 케이크, 브라우니, 그리고 커피를 함께 즐길 수 있는 구성은 당시에 흔치 않았던 ‘디저트 중심형 카페’라는 점에서 젊은 여성층을 중심으로 이목을 끌었다. 특히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유럽풍 분위기, 쇼콜라에 집중된 메뉴 구성 등은 카페 시장의 다양화를 시도하던 트렌드와 잘 맞아떨어지며 수도권을 중심으로 빠르게 매장이 확장되었다.하지만 디초콜릿커피는 브랜드 콘셉트의 불명확함과 상품력 부족, 운영 전략의 미흡함으로 인해 단기간 내 성장에 제동이 걸렸고, 결국 시장에서 서서히 사라지게 되었다. 이 사례는 카페 프랜차이즈 시장에서 ‘차별화’가 단순한 아이디어가 아닌 구조적 설계와.. 더보기
포메인 배달전문 – 쌀국수 브랜드의 구조적 한계 ‘포메인(PhoMein)’은 2000년대 중반부터 국내 쌀국수 시장을 이끈 대표 브랜드다. 깔끔한 국물, 향신료 강하지 않은 레시피, 고급화된 매장 분위기를 앞세워 베트남 음식에 익숙하지 않던 한국 소비자에게 ‘친숙한 쌀국수’라는 인식을 심어주며 전국적 프랜차이즈로 성장했다. 특히 쇼핑몰, 대학가, 오피스 중심 상권에 집중 출점하며 가볍고 건강한 한 끼 식사로 자리 잡았고, 쌀국수를 메인으로 한 외식 브랜드의 성공 가능성을 보여줬다.그러나 코로나19 이후 배달 중심 구조로 전환하며 선보인 ‘포메인 배달전문점’은 기대만큼 성과를 내지 못했고, 많은 가맹점이 운영을 포기하거나 리뉴얼을 선택하게 되었다. 이는 단순히 외식 시장 환경 변화 때문이 아니라, 쌀국수라는 메뉴 자체의 한계, 배달 구조와의 부조화, 소.. 더보기
붐바타 – 베이커리 브랜드의 정체성 희석 사례 ‘붐바타(BOOMBATA)’는 CJ푸드빌이 선보인 화덕 피자 기반 이탈리안 캐주얼 베이커리 브랜드로, 프리미엄 패스트푸드를 표방하며 주목받았다. 베이커리·샐러드·피자·파스타·커피를 모두 아우르는 멀티푸드 콘셉트는 신선하고 감각적인 도시형 F&B 모델로 출발했지만, 짧은 시간 내에 브랜드는 소비자 인식에서 흐려졌고, 전국 확장에 실패하면서 점차 시장에서 사라졌다.그 원인은 단지 메뉴 퀄리티나 입지 조건 때문이 아니라, 정체성이 분산된 콘셉트, 중심 없는 메뉴 구성, 브랜딩 전략의 모호함에서 비롯된 구조적인 한계였다. 붐바타는 브랜드가 하나의 콘셉트와 메시지를 얼마나 분명하게 전달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실패 사례다. 감각적인 시작 – ‘화덕 피자와 베이커리’의 융합 전략붐바타는 처음 등장했을 때, 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