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노핀 – 커피·머핀 결합 콘셉트가 외면받은 이유
‘마노핀(MANOFFIN)’은 한때 대형 카페 프랜차이즈 중 하나로 주목받았던 브랜드로, 커피와 머핀의 결합이라는 독특한 콘셉트를 앞세워 빠르게 매장을 늘려갔다. 아메리카노 한 잔과 달콤한 머핀 하나를 세트로 구성한 메뉴 전략은 ‘작은 여유, 달콤한 휴식’을 원하는 직장인과 20~30대 여성 소비층에게 어필하며 백화점, 쇼핑몰, 번화가에 활발히 입점했다. 초창기에는 비주얼이 뛰어난 베이커리류와 트렌디한 음료 라인업으로 SNS 공유도 활발했고, 브랜드는 디저트 카페 시장의 유력 주자로 부상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마노핀은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졌고, 매장 수는 점차 줄어들며 존재감이 사라졌다. 그 이유는 단순한 유행의 소멸이 아닌, 상품 구조의 한계, 메뉴 다양성 부족, 콘셉트 리뉴얼 실패, 시장 흐름..
더보기
쉐이크밥 – 음료와 식사의 결합이 통하지 않은 이유
‘쉐이크밥’은 음료와 식사를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외식 아이템으로 한때 주목을 받았던 퓨전 프랜차이즈다. 컵밥 형태로 구성된 다양한 덮밥류 메뉴에 스무디, 쉐이크, 밀크티 등 음료를 세트로 제공하는 콘셉트는 1인 고객, 특히 10~20대 소비자를 겨냥한 참신한 시도로 평가받았다. 특히 포장과 테이크아웃 중심 구조, SNS 공유에 최적화된 비주얼은 초기 빠른 확산을 이끌어냈고, 쇼핑몰·캠퍼스 인근 상권을 중심으로 단기간에 매장을 확장했다. 그러나 기대와 달리 쉐이크밥은 대중성과 지속성을 확보하는 데 실패했고, 결국 대부분의 매장이 폐점하거나 콘셉트를 변경하게 된다. 그 원인은 단순한 유행 종료가 아니라, 소비자 경험의 혼란, 메뉴 조합의 미스매치, 핵심 가치 부족, 구조적 수익성 한계에 있었다. SNS 시..
더보기
김명자 낙지마당 – 매운 낙지 요리 브랜드의 한계
‘김명자 낙지마당’은 한때 전국적으로 100개 이상의 가맹점을 운영하며, 매운 낙지 요리를 대표하는 프랜차이즈로 자리잡았던 브랜드다. 불낙전골, 낙지덮밥, 낙곱새, 낙삼 등의 매콤한 메뉴를 간편한 정식 형태로 제공하며, 직장인 점심 시장과 가족 외식 수요를 동시에 흡수했다. 한식 중에서도 매운 낙지를 중심으로 특화한 구성은 차별화된 콘셉트로 주목을 받았고, 특히 매운맛을 선호하는 소비층에게 강하게 어필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 김명자 낙지마당의 매장 수는 급격히 줄었고, 브랜드는 시장에서 빠르게 존재감을 잃었다. 이는 단순히 트렌드의 변화가 아니라, 단일 메뉴 구조의 한계, 소비자 피로도, 브랜드 리뉴얼 부재, 수익성 악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매운 낙지 요리 특화로 빠르게 자리 잡은 초..
더보기
로운밥상 – 프리미엄 한식 뷔페의 실패 원인
‘로운밥상’은 한식의 건강함과 프리미엄 뷔페의 콘셉트를 결합하여 2020년대 초반 주목을 받은 외식 브랜드였다. 화려한 양식 뷔페와 차별화되는 ‘한식 중심의 정갈한 뷔페’라는 기획은 중장년층과 가족 단위 고객에게 강하게 어필했으며, 쇼핑몰과 고급 상권을 중심으로 빠르게 매장을 확장해갔다. 된장국, 잡채, 장조림, 제철 나물, 불고기, 밥, 국, 반찬 등 익숙한 식단을 고급스럽게 구성한 ‘프리미엄 가정식 뷔페’는 당시 새로운 외식 트렌드로 받아들여졌다.그러나 지금의 로운밥상은 시장에서 그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 매장 수는 급감했고, 브랜드 존재감도 사라졌다. 이는 단순한 유행의 종료가 아닌, 운영 구조 불안정, 정체된 콘텐츠, 소비자 기대 대비 낮은 경험 완성도라는 구조적 실패에서 비롯되었다. 한식의 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