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3

🍙 얌샘김밥 – 실속형 분식 브랜드의 쇠퇴 원인

‘얌샘김밥’은 실속형 분식 프랜차이즈의 대표 주자로 한때 전국 300여 개 이상 가맹점을 운영하며 분식 업계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했다. 2천 원대 기본 김밥부터 다양한 프리미엄 김밥과 분식 메뉴를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며, 가성비를 중시하는 소비자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 특히 학생, 직장인, 1인 가구 등 폭넓은 타깃층을 대상으로 안정적인 매출을 올릴 수 있다는 점에서 창업자들에게도 인기가 높았다. 그러나 2020년대에 접어들며 얌샘김밥은 점차 소비자의 기억에서 잊혀졌고, 매장 수는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단순히 경쟁 브랜드 증가 때문만이 아니라, 브랜드 리뉴얼 부재, 품질 관리 실패, 변화에 둔감한 운영 구조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가성비 분식의 선두주자 – 얌샘김밥의 전성기 요인얌샘김밥..

🍚 탐나는밥상 – 저가 한식뷔페가 몰락한 이유

‘탐나는밥상’은 2010년대 중후반, 6,000~7,000원대의 합리적인 가격으로 20여 가지 한식 반찬을 무제한으로 제공하는 저가 한식뷔페 브랜드로 급성장했다. 외식물가가 상승하던 시점에서 ‘착한 가격’과 ‘푸짐한 구성’을 앞세운 전략은 대학가, 직장가, 산업단지 등에서 큰 인기를 끌었고, 가성비 한식뷔페 시장의 선두주자로 주목받았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매장 수는 급격히 줄었고, 소비자 반응도 예전 같지 않게 되었다. 지금은 대부분의 매장이 폐점했거나 간판을 내리고 다른 업종으로 전환되었다. 그 몰락의 원인은 단순히 경기 탓이 아니었다. 과도한 저가 정책, 품질 관리 실패, 운영 구조의 비효율성이 동시에 브랜드를 무너뜨린 구조적 실패였다. 한 끼 6천 원의 기적 – 초반 성공 요인과 빠른 확장탐..

🍲 본설렁탕 – 전통 메뉴를 브랜드화했지만 실패한 이유

‘본설렁탕’은 건강한 전통 한식 브랜드 ‘본죽’으로 성공을 거둔 본아이에프가 설렁탕이라는 전통 보양식을 현대적 시스템으로 재해석하며 런칭한 프랜차이즈다. “진한 국물, 정갈한 밥상”이라는 콘셉트와 HACCP 인증 국물 제조공장, 간편한 조리 시스템, 포장과 배달의 편의성을 앞세워 전국적으로 가맹점을 늘려가며 한때 외식업계의 ‘설렁탕 표준화’ 시도를 상징했다. 하지만 지금의 본설렁탕은 과거에 비해 매장 수가 급격히 줄었고, 시장에서의 존재감 역시 약해졌다. 그 원인은 단순히 설렁탕 시장의 포화 때문이 아니었다. 브랜드 정체성의 혼란, 메뉴 경쟁력 약화, 변화에 대한 둔감함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본설렁탕은 점점 소비자와 멀어졌다. ‘본죽의 성공 방정식’으로 설렁탕 시장에 진입하다본설렁탕은 본아이에프가 본죽..